KBS 파노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파노라마는 KBS에서 제작하는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정치, 경제, 역사, 자연, 사회, 문화, 인물, 환경, 과학, 문명, 국제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며, 연속 기획과 단편 기획 형식으로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다큐극장
《다큐극장》은 2013년 KBS 1TV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과 사건, 시대적 배경 등을 다루었으며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재연, 인터뷰, 자료 화면 등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나, 기획 초기 단계에서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한국기행
EBS 1TV에서 방영되는 《한국기행》은 2009년 8월 24일 첫 방송 이후 매주 평일 밤 9시 35분과 토요일 저녁 6시 30분에 방영되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미디어길과 박앤박 미디어가 격주로 제작하고 박형준의 '한국기행 TITLE'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된다. - 2014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우리가 사랑할 수 있을까
우리가 사랑할 수 있을까는 2014년에 방영된 드라마로, 39세 여성 세 명의 성장과 일,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유쾌하게 그린 작품이다. - 2014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맏이 (2013년 드라마)
1960년대부터 1990년대 5남매의 성장과 맏딸의 헌신적인 삶을 그린 JTBC 드라마 맏이는 가족의 소중함과 희망을 전달하고자 했으며, 윤정희, 재희, 오윤아, 박재정 등이 주연을 맡아 54부작으로 제작, 평균 시청률 2.976%를 기록했다. - 201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2013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미래의 선택
《미래의 선택》은 방송작가를 꿈꾸는 콜센터 상담원 나미래가 미래의 자신으로부터 운명을 듣고 과거로 온 '큰미래'의 조언에 따라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는 타임슬립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다.
KBS 파노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프로그램 정보 | |
방송명 | KBS 파노라마 |
원제 | KBS Panorama |
장르 | 다큐멘터리 |
방송 시간 | 매주 목요일 ~ 금요일 밤 10시 ~ 10시 55분 |
방송 기간 | 2013년 4월 11일 ~ 2014년 12월 19일 |
방송 횟수 | 150회 |
방송 채널 | KBS 1TV |
추가 편성 | KBS 키즈 KBS 프라임 (유료방송) Mplex (유료방송) KBS 월드 (해외위성) |
제작 | KBS 시사교양 문화국 |
연출 | 본문 참조 |
구성 | 본문 참조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KBS 1TV 파노라마 홈페이지 |
전편 | KBS 스페셜 |
후편 | KBS 다큐 1 |
2. 기획 의도
공영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기대를 반영하여, 정치, 경제, 역사, 자연, 사회, 문화, 인물, 환경, 과학, 문명, 국제 등 모든 분야를 다루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KBS 파노라마의 방영 목록은 연속 기획과 단편 기획으로 나뉜다. 단편 기획에서는 마거릿 대처, 김정은, 아베의 아베노믹스, 조세회피처, 넬슨 만델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3]
3. 방영 목록
3. 1. 단편 기획
는 다양한 주제를 다룬 단편 다큐멘터리들을 제작하여 방영하였다. 2013년에는 마거릿 대처의 유산, 김정은과 한·미·중의 딜레마, 아베 아베노믹스, 백정 아버지와 서양의사 아들, 재일동포 청년들의 선택, 조세회피처, 정전 60주년 다큐콘서트, 캉첸중가 동행, 미군 포로들의 한국 전쟁 증언, 직업성 암, 120년 전 시카고에서 찾은 대조선, 공공병원의 하루, 결혼없는 청춘, 부패 네트워크, 고래상어 친구, 가계부채 1000조, 스마트폰 빅뱅, 조선족 아이들, 칸타타 보병과 더불어, 칼텍 노벨상, 추사 김정희, 넬슨 만델라, 우리는 어떻게 죽는가, 조수 웅덩이, 블루베일의 시간, 탈북자 등의 주제를 다루었다.
3. 1. 1. 2013년
회차 | 방송일 | 부제 | 글 · 구성 | 연출 |
---|---|---|---|---|
3회 | 4월 18일 |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의 유산 | 고은희 | 김정균, 황진성, 이승하 |
5회 | 4월 25일 | 김정은 - 한 · 미 · 중의 딜레마 | - | 류종운 |
8회 | 5월 10일 | 바다 식목일 기획 - 바다 숲 | 나은희 | 안희구 |
11회 | 5월 23일 | 아베 아베노믹스 | 김영지 | 유성문, 이승하 |
14회 | 5월 31일 | 백정 아버지와 서양의사 아들 | 최미혜 | 임기순 |
15회 | 6월 6일 | 아버지의 나라 - 재일동포 청년들의 선택 | - | 황대준, 이호경 |
17회 | 6월 13일 | 검은 돈의 보물섬 - 조세회피처 | 강문채 | 안성진, 강윤기 |
20회 | 6월 21일 | 정전 60주년 다큐콘서트 - 끝나지 않은 전쟁 | 한지원, 박애진 | 민승식 |
26회 | 7월 12일 | 캉첸중가 - 끝나지 않은 동행 | 윤영수 | 김형운 |
28회 | 7월 19일 | 플라톤의 노래 - 늙은 경주마의 기억 | - | 윤한용 |
29회 | 7월 25일 | 63년의 그리움 - 내 딸 미요코 | - | 황대준, 이호경 |
30회 | 7월 26일 | 미군 포로 11인의 증언 - 내가 겪은 한국 전쟁 | 이진주 | 최재복 |
32회 | 8월 2일 | 해달의 경고 | 박선민 | 박환성 |
34회 | 8월 9일 | 직업성 암 - 0.01%의 좁은 문 | 정윤미 | 이지희 |
36회 | 8월 16일 | 꼭꼭 숨어라 집게다리 보일라 | - | 이경배 |
37회 | 8월 22일 | 엄마가 미안해 | - | 구수환 |
38회 | 8월 23일 | 발굴추적 - 120년 전의 시카고에서 찾은 대조선 | 김유미 | 이인수 |
40회 | 8월 30일 | 아자리아의 아리랑 | 윤영식 | 이연수 |
43회 | 9월 12일 | 바보병원 - 공공병원의 하루 | 장소영 | 조영중 |
47회 | 9월 26일 | 결혼없는 청춘 | 이소영 | 황응구 |
48회 | 9월 27일 | 미르푸르의 빛나는 눈동자 | 임명희 | 고휘진 |
49회 | 10월 3일 | 그들만의 리그 - 부패 네트워크 | 이영옥 | 김정균, 강윤기 |
50회 | 10월 4일 | 고래상어 - 바다청년과 친구가 되다 | 이지희 | 김희석, 함민희 |
52회 | 10월 11일 | 가계부채 1000조 - 빚 권하는 사회 | 이영옥 | 이승하 |
55회 | 10월 25일 | 스마트폰 빅뱅 - 그 후 | 김혜정 | 유성문 |
58회 | 11월 7일 | 엄마 곱니 아빠 곱니 - 조선족 아이들 | 윤영수 | 변영섭, 두진선 |
59회 | 11월 8일 | 칸타타 보병과 더불어 | 이장종 | |
62회 | 11월 21일 | 노벨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칼텍 | 이은희 | 최정혜, 지현호 |
63회 | 11월 22일 | 추사 김정희 - 어느 가을 날의 여행 | 송재헌 | |
67회 | 12월 6일 | 세상을 바꾼 남자 - 넬슨 만델라[3] | 조정화 | 김영선, 강윤기 |
69회 | 12월 19일 | 우리는 어떻게 죽는가 | 홍영아 | 조두호, 류충래, 남기세 |
70회 | 12월 20일 | 대양을 닮은 바다 - 조수 웅덩이 | 고희갑 | 임형묵 |
71회 | 12월 26일 | 블루베일의 시간 | - | 이호경 |
72회 | 12월 27일 | 탈북자 - 경계에 서다 | 황정연 | 이길도 |
3. 1. 2. 2014년
KBS 파노라마한국어의 2014년 방영 에피소드는 존재하지 않는다.참조
[1]
방송
2014년 6월 8일에 BANFF 월드 미디어 페스티발에서 반프 로키 상을 받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재방송이 특별 편성되었다.
[2]
방송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12세 이상 시청가로 방송하였다.
[3]
방송
당초 편성 계획에 없었으나 그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면서 급조 후 긴급 편성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